목차
1. 초기 세팅
이전에 개발 기간에 쫓겨 구현하지 못했던 소셜 로그인 기능을 추가하고자 한다.
1. 초기 세팅
KaKao Developer에서 앱을 추가해주어야 한다.
이때는 특별히 해줄 것 없이 설정을 완료해주게 되면 앱 키 목록이 나오는데 이 중 자신의 용도에 맞는 키를 선택하면 된다. 나는 안드로이드이기 때문에 네이티브 앱 키를 선택했다.
그 다음 카카오 로그인 설정을 들어가 활성화 시킨다. 활성화 시키지 않을 경우 카카오 로그인을 시도했을 때 KOE004 코드가 뜨게 된다. 그리고 플랫폼에 들어가서 키 해시 값을 입력해주어야 하는데, Android | Kakao Developers 문서 이 링크를 참고하면 쉽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이 개발 환경에 따라 값이 다르므로 만약 협업을 한다면 모든 디버그 키 해시를 등록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2.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의 세팅
gradle 설정의 경우 문서를 보고 그대로 설정하면 되니 생략한다.
manifest의 경우 내가 로그인을 진행할 activity에서 설정하는 줄 알고 잘못 설정했더니, 로그인 창, 로그인 확인까지는 되는데 토큰이 제대로 넘어오질 않았다. 로그도 나오지 않아서 어디가 문제인지 모르고 시간을 많이 잡아먹었다. 무조건 android:name 속성값으로 "com.kakao.sdk.auth.AuthCodeHandlerActivity"를 입력해주어야 한다.
이렇게 설정을 완료했다면 구현 예제를 붙여넣기 하는 것만으로도 카카오 로그인은 잘 진행이 된다.
3. 이후 계획
이전에는 지레 겁을 먹고 하지 못했는데, 개발자 문서를 계속해서 읽다보니 개발자 문서를 보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사라졌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이를 바탕으로 구현해보았는데, 생각보다 설명이 너무 잘 되어 있어서 놀랐다.
이어서 accessToken과 refreshToken을 가지고 토큰을 갱신하는 부분을 완성할 예정이다. 기존에는 SharedPreference로 토큰을 관리했었는데, 로그아웃을 했는데도 SharedPreference의 값이 변경이 반영되지 않아서 로그인 버튼이 활성화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이를 livedata를 활용하여 해결해보고자 한다.
참고 문헌
'Kotlin_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tlin] RecyclerView와 ViewModel 적용해보기 (0) | 2023.01.19 |
---|---|
[HiStory 리팩토링] 3. 카카오 로그인 기능 적용(2) (0) | 2023.01.04 |
[HiStory 리팩토링] 1. 리팩토링을 시작하다 (0) | 2022.12.28 |
[Kotlin] Custom Calendar Library(kizitonwose) 사용하기 (0) | 2022.07.13 |
[Kotlin] 동기와 비동기 살펴보기 (0) | 2022.07.04 |